본문 바로가기
Web/JavaScript

12)JavaScript_함수를 전달하는 기본 개념 정리

by Downy_J 2023. 6. 13.
728x90
반응형
SMALL

함수를 JS에서 전달하는 기본 개념 정리

 

함수는 뭔 언어를 쓰든 기본적으로 이 2가지만 이해하면 됨

1. 함수 선언

2. 함수 호출


function() 선언호출

먼저 뭔 역활을 하는 함수 하나를 이렇게 정의 해보자

 

저기 () 는 함수의 어떤 값을 전달받아 올건지 인자를 정의하는 부분

{} 에는 이 함수 안에서 어떤 기능이 수행될 코드가 들어갈 부분으로 나뉘어진다

 

지금 상태로는 뭔 기능도 없으니 consol.log()를 뽑아보는 기능이라도 넣어보자

 

여기까지가 함수 선언 한 상태이며

이대로는 아무런 액션도 취하지 않는다

 

호출을 해야한다

이렇게 특정 기능만 수행하고 끝내는 함수가 있는가 하면

특정 계산을 끝내 값을 리턴하는 함수도 있


값 리턴 함수

값받아 더하는 add라는 함수가 이렇게

있다고 하자

 

그 함수는 

a와 b를 라는 값을 받아와

a + b를 해서 sum에 담아 넣는 변수인데

 

이걸 호출하면

sum에는 3 이라는 숫자가 담겨 있을 거다

아무런 값을 리턴해 주지 않았으니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는거다

그럼 return이라는 키워드를 이용해 계산값을 전달해줘야 한다

그럼 이렇게 그 결과가 나오는걸 알수 있다

 

읽어보자.......

result 라는 변수를 정의 할건데

함수 add()에 인자로 a에는 1을 b에는 2를 담아 넣는다

이때 add() 함수에선 이 둘 a와 b를 더하라 했고 그 더한 값을

sum이라 정의한 곳에 담았다

마지막으로 값이 담긴 값을 return 해줌으로 add()함수의 일은 끝났다

그리고 그 값은 아까의 result에 담겼고

consol.log()를 사용해 값을 뽑아 보니 3이 나오는걸 확인할수있다


함수를 인자로 전달하기

함수를 호출 할거다

add라는 함수를 불러들일건데

당연하지만 뒤에 ( )는 안쓴다

이렇게 add를 인자로 던져 뽑게 되면

저 add라는 함수의 스트링이 들어가 이렇게

나오는걸 알수 있고

그럼 저 안에서 인자를 이렇게 던져 그 값을 리턴 받으면

함수를 호출 받아 값 받아오는거 된다

 

자 함수 호출은 뒤에 () 붙이고

인자 전달 하려면 그 안에 값을 넣어 던지는 거다

이게 함수 기본사용법


선언 호출 정리. . .

함수에는

선언호출이 있음

선언 할 어떤값을 전달 받아 올건지 인자들을 정의하고 나서

코드 불록을 작성하게 되는데

선언만 해놓으면 작성해놓은 코드 블록은 수행되지 않는

이걸 수행하기 위해선 함수를 호출 해야 한다

 

호출 할땐 함수 명과 그 옆에 ( ) 를 이용해서

함수에서 원하는 정의된 인자값들을 전달하며

호출 해야 한다

 

함수의 이름 자체함수를 가리키는 그 자체가 됨

그래서 이 ( )를 쓰지 않고 함수명 그 차제로 다른 함수의 인자로 전달하거나

다른 변수에 할당하게 되면 그 함수 자체를 가리키게 되는것

( )안쓰고 함수명만 쓴다는 말이 이말...

728x90